왜 데이터에 집착하죠?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선 ‘insight’가 중요합니다.
루빗팀은 데이터로 검증하는 실험을 반복하면서 ‘insight’를 고도화 시킵니다.
반복적으로 학습된 ‘insight’는 ‘유저의 목소리’와 합쳐져 놀라운 시너지를 만들어 냅니다.
결국 데이터 자체가 노하우이고 실력입니다.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하나요?
루빗 팀은 [근거 없이 실행하지 않고] [실행 후 데이터 기반 검증]을 필수적으로 합니다.
또한 데이터는 PO/DA 만의 영역이 아니라 매주 브리핑을 통해 알기 쉽게 모든 구성원에게 공개됩니다.
이는 전 구성원이 데이터 친화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문화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문화를 통해 데이터 기반 노하우를 쌓아 [제품 우위]를 가져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데이터 기반 스프린트 설계
업데이트 전후 분석 (사전 진행)
업데이트 후 필수적으로 검증하고 학습합니다.
팀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정리해 겸허하게 받아들여 성장합니다.
핵심 지표 모니터링
•
리텐션 등 핵심 KPI 모니터링
•
내부 대시보드 및 써드파티 솔루션 활용
기능 성과 분석 (업데이트 전후 비교)
•
핵심 지표 분석
내부 데이터 브리핑 (매주 월)
•
데이터 브리핑을 통해 모든 팀원이 현황을 인지하고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
명확한 목표지표를 가시화하여 ‘동기부여’ 합니다.
스프린트 목표 정의 (~5일)
2-3주 진행할 스프린트에 대한 방향성을 정의합니다.
유저스토리
•
문제정의
•
솔루션 아이디에이션
•
ICE Scoring
•
와이어프레임
과거 데이터 분석
•
과거 업데이트 성과 분석
•
데이터 기반 문제 정의, 유효성 검증
가설검증 설계
•
AB테스트 설계
•
지표 충돌 체크
•
목표지표/경계지표 설정
본 기획 (1~2주)
스프린트의 명세작성 및 검증 등 검증된 최종 기획물을 만듭니다.
러프 프로토타입
•
PO/ProductDesigner가 함께 러프한 기획물을 만듭니다.
중간 Risk Search
•
프로토타입을 중심으로 개발팀과 논의하며 Risk를 줄입니다.
•
중간중간 아침 스크럼을 통해 브리핑-체크를 반복합니다.
•
대략적인 Due Date를 산정합니다.
최종 디자인
•
최종 디자인 / Description 작성을 진행합니다.
•
모든 작업은 Figma를 통해 진행합니다.
본 기획 QA(3일~1주)
듀데이트가 늦어지는 건 ‘문화’의 차이입니다.
개발 도중 기획이 바뀌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서 [검증,검토]합니다.
안전한 듀데이트 설정을 위해 중간 RiskSearch를 진행합니다.
Description 수정
•
개발 도중 문제가 없도록 검수를 진행합니다.
UT/FGI
•
검증이 필요할 경우 UT / FGI를 진행합니다.
•
Activation 지표 개선 시 주로 진행합니다.
(노코딩) 스몰테스트
•
검증이 필요할 경우 스몰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최종 Risk Search
듀데이트가 늦어지는 건 ‘문화’의 차이입니다.
명확한 듀데이트 산정을 위해 최종 Risk Search를 합니다.
•
모든 제품 팀이 함께 미흡한 부분을 확인하고 최종 듀데이트 산정을 진행합니다.
개발 프로세스 진행..
이렇게 반복해서 스프린트를 운영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인터뷰 때 설명해드릴게요:)
루빗 팀과 함께 데이터기반 성장을 경험(개선)하길 원한다면 지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