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

루빗 팀이 일하는 방법

루빗 팀이 일하는 11가지 방법 : 원칙

1.
신뢰가 곧 생산성이다. 신뢰 받은 만큼 책임감을 갖고 일한다.
2.
우리는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공동체임을 명심하자.
3.
하는 일이 쉽다면 성장이 멈췄는 지 돌아봐야 한다.
4.
몸과 마음이 건강해야 오래 즐겁게 달릴 수 있다.
5.
피드백은 안 하는 것보다 하는 게 본인에게 백 배 편하다.
6.
완벽함보다 빠르게 구체화 하는 역량을 기르자.
7.
주도적으로 만든 성취는 훨씬 달콤하다.
8.
목적과 근거 없이 말하고, 행동하고, 결정하지 않는다.
9.
몰입하기 위해선 스스로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10.
데이터 없이 아무 일도 하지 못한다.
11.
모든 규칙은 정답이 없고, 구성원과 환경에 따라 변한다.

팀원의 기본 소양

자신의 성장도 챙기자!
루빗의 성장과 함께 자신의 성장도 굉장히 중요하다. 루빗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얻고가는 사람이 되자!
메타인지
내가 현재 무엇을 위해 이 일을 하고 있는지, 정말 필요한 일인지, 끊임없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뚜렷한 목표가 있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메타인지가 필요한 예시
ex) 급하지 않은 일을 맡아서 하고 있는데, 정작 더 급한 일이 있을 때
ex) 목표없이 눈앞에 있는 일만 처리하고 있을 때
YES맨 지양
기능 추가/ 개발 요청 등이 왔을 때
질문은 언제나 부담없이!
익숙하지 않은 일을 맡으면 당연히 궁금한 부분이 많다. 사소한 것도 귀찮을 정도로 많이 물어보기
서로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도록 ‘좋은 질문’하기
커뮤니케이션 법칙 1) RoQ(Reason of Question)
RoQ: 질문을 할 때엔 역질문이 돌아오지 않도록 질문의 의도와 필요한 내용을 모두 전달한다.
Ex 1
커뮤니케이션 법칙 2) 걱정 대화법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을 땐 자신의 걱정을 전달하면 효과적이다.
Ex 1
커뮤니케이션 법칙 3) 감정은 빼놓고 이야기 [하기/받아들이기]
이성적으로: 상대방이 한 일에 대한 지적/발전이 필요하면 감정은 빼놓고 이성적으로만 전달하기! 받아들이는 사람 입장에서도 나에 대한 것이 아닌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임을 잊지말기!
일은 미루지 않는다.
(게을렀던 보라의 개인경험 바탕..) 나중에 해야지! 하는 일은 절대 안하게 된다. 꼭 처리해야하는 일이라면 생각난 지금 당장 처리하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할 줄 알자.
진정한 일잘러는 맡아야 할 일이 내 능력 밖의 일이라면 할 수 없다고 당당히 말하는 사람!
감정은 사라지고 결과는 남는다.
하기 싫은 일이 있다면 이 말을 기억하자!
자신만의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스스로를 위해 일-라이프 스위치를 자유자재로 끌 수 있도록하자!
일과 쉼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면 지치기 마련임을 명심하자.
쉴 때 잘 쉬어야 한다.
계획적으로 일하는 게 잘하는 거다.
스스로 일과 삶을 통제하는 능력은 ‘자기효능감’을 만들어 준다.
피드백을 안 하는 것은 상대의 성장을 막는 것이다.
피드백에 상쳐받지 말고, 겸허히 받아들이자.

의사결정 우선순위

1) 방향성 기반 의사결정

큰 비전을 위한 의사결정을 한다.
“팀의 비전”에 집중해야 불가능을 이길 수 있다.

2)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이유없는 기능은 없다. (전부 가설이 있어야 하고, 검증해야 한다)

3) 리소스 기반 의사결정

감성보다 IMPACT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한정된 시간 내에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한다.

4) 가역성을 고려한 의사결정

치열하게 고민해서 한번 만들 때 잘 만들자.
돌이킬 수 없는 일은 충분한 테스트를 거친 후 실행한다.

5) 팀 중심 의사결정

정말 모를 때는 팀이 하고 싶은 걸 따릅니다.
여기까지 온 적은 없습니다:)